목록신선한옥 (강진재) (9)
부여 신선 한옥

신선 전통한옥 펜션(강진재) 예약 전화 010-6759-1017부여읍 부소산성의 동쪽 마을 월함로(쌍북3리)에 있는 전통 한옥의 멋을 살린 곳입니다.거실 및 주방, 방2, 화장실2독채(20평)에 한 팀만이 다른 분들과의 접촉을 피하고 조용히 지내는 곳입니다. 편안한 여행을 하고자 하시는 오붓한 가족,금강 자전거길을 이용하시는 자전거 여행객(세탁기 구비) 등편안한 휴식을 원하시는 분들을 모시고자 합니다. 소 개신 선 (전통) 한 옥 연락처010-6759-1017(예약), 010-2402-4556(대표)주소충남 부여읍 월함로 71번길 18-5 (지번) 쌍북리 360-2사이트주소https://jgskim.tistory.com/숙박정보체크인/체크아웃체크 인 15:00체..

신선 전통한옥 펜션(강진재) 예약 전화 010-6759-1017 부여읍 부소산성의 동쪽 마을 월함로(쌍북3리)에 있는 전통 한옥의 멋을 살린 곳입니다. 거실 및 주방, 방2, 화장실2 독채(20평)에 한 팀만이 다른 분들과의 접촉을 피하고 조용히 지내는 곳입니다. 편안한 여행을 하고자 하시는 오붓한 가족, 금강 자전거길을 이용하시는 자전거 여행객(세탁기 구비) 등 편안한 휴식을 원하시는 분들을 모시고자 합니다. 소 개 신 선 (전통) 한 옥 연락처 010-6759-1017(예약), 010-2402-4556(대표) 주소 충남 부여읍 월함로 71번길 18-5 (지번) 쌍북리 360-2 사이트주소 http://blog.daum.net/jgskim 숙박정보 체크인/체크아웃 체크 인 15:00 체크아웃 11:00..

(위 사진) ③월함로(쌍북3리 버스정류장)에서 한옥주택을 끼고 좌회전하여 월함로 71번길로 진입한다. 월함로 71번길로 진입하여 150m 진행하여 목적지 도착. (위 사진) 정면의 호두나무에 안내판 부착되어 있음. 15m직진하여 펜션도착.

instagram을 통하여 우리 펜션의 소식을 전하게 되다.(검색 : 부여신선한옥펜션, cueunja2)

2021년의 봄, 주변의 야생화와 작은 정원의 모습을-- 육질의 굵은 뿌리가 깊이 수직으로 뻗으며 자라는데 검은 갈색이 난다. 원줄기는 없다. 자르면 전체에서 백색의 유액이 나온다. 민들레와 비슷하지만 꽃이 희고 서는 잎이 많으며 잎이 연한 녹색을 띠므로 구별된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과 뿌리를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생즙을 내서 쓴다. 또한 술을 담가서도 쓴다.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중국과 한국이 원산지이고, 산과 들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30cm이다. 전체적으로 털이 나 있는 것이 특징이며, 꽃은 늦봄에서 초여름까지 핀다. 꽃말은 ‘순결’, ‘존엄’이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며, 이뇨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꽃핀 모양이 ..
신선 전통한옥 펜션(강진재) 예약 전화 010-6759-1017 부여읍 부소산성의 동쪽 마을 월함로(쌍북3리)에 있는 전통 한옥의 멋을 살린 곳입니다. 거실 및 주방, 방2, 화장실2 독채(20평)에 한 팀만이 다른 분들과의 접촉을 피하고 조용히 지내는 곳입니다. 편안한 여행을 하고자 하시는 오붓한 가족, 금강 자전거길을 이용하시는 자전거 여행객(세탁기 구비) 등 편안한 휴식을 원하시는 분들을 모시고자 합니다. 소 개 신 선 (전통) 한 옥 연락처 010-6759-1017(예약), 010-2402-4556(대표) 주소 충남 부여읍 월함로 71번길 18-5 (지번) 쌍북리 360-2 사이트주소 http://blog.daum.net/jgskim 숙박정보 체크인/체크아웃 체크 인 15:00 체크아웃 11:00..
신선한옥 (강진재) 펜션 - 충남 부여군 부여읍 월함로 71번길 18-5 2020년 어느 여름 2020년 가을에 새 단장한 후 거실의 주방 안방 건넌방 거실의 식탁 거실의 쇼파 안방의 화장실 건넌방의 화장실(비데 설치) 천정의 대들보 상량문(" 해와 달과 바람이 머무는 곳에 터를 잡다 2017년 4월 4일") 세탁기 거실 펜션 입구의 이정표 쌍북3리 버스정류장 앞 ( 월함로 71번길 입구) 에서 좌회전 신선한옥펜션 이정표 펜션 20m전의 이정표, 더 이상은 좁은 길이라 승용차가 출입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