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신선 한옥

수목의 분류 기준과 검색표 본문

야생화, 나무 이야기

수목의 분류 기준과 검색표

바이오샘 2016. 12. 28. 10:44

수목의 분류기준과 주요 수종 검색

경북대 명예교수 박상진      [출처] 수목의 분류기준과 주요 수종 검색표|     작성자 원산

 

잎의 구조

잎은 잎자루와 잎몸으로 이루어지며 때로는 탁엽이 달리기도 한다. 잎이 줄기에 달리는 모양은 마주나기(對生), 어긋나기(互生), 돌려나기(輪生), 뭉쳐나기(叢生)가 있다. 마주나기는 잎이 가지를 가운데 두고 서로 마주보기로 달리는 것이다. 어긋나기는 글자그대로 어긋나게 붙어있는 잎이며, 돌려나기는 가지를 가운데 두고 여러 개의 잎이 쟁반처럼 돌아가면서 돋아난 형태이고, 뭉쳐나기는 한곳에 많은 잎이 뭉쳐서 나는 형태이다.

 

잎의 종류는 홑잎(單葉)과 겹잎(複葉)이 있으며 겹잎에 달린 하나하나의 작은 잎을 소엽(小葉)이라고 한다. 홑잎은 잎자루에 하나의 잎이 달린 것을 말하며, 겹잎은 잎자루 하나에 여러 개의 잎이 붙은 것을 일컫는다. 겹잎은 잎자루에 소엽이 달리는 모습이 좌우 대칭으로 마치 날개를 펼친 것 같은 우상복엽(羽狀複葉)이라 하며 소엽의 개수가 짝수이면 우수우상복엽, 홀수이면 기수우상복엽이라 한다. 또 우상복엽인데 한번이 아니고 두 번 갈라지면 2회 우상복엽, 3번갈라지면 3회 우상복엽이라 부른다. 그 외 소엽이 잎자루 끝에 손바닥처럼 펼쳐져 달리는 장상(掌狀)복엽, 잎자루 끝에 3개씩만 달리면 3출엽이라 한다.

 

잎의 전체 모양은 소나무 같은 침형(針形), 주목 같은 선형(線形)을 비롯하여 타원형, 심장형, 주걱형 등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타낸다. 잎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말로는 뾰족한 톱날처럼 생긴 예거치(銳鋸齒), 이중의 톱날 구조를 가진 중예거치(重銳鋸齒), 가장자리가 밋밋한 전연(全緣) 등이 있다. 잎의 밑 모양은 좌우가 대칭이 아니고 일그러진 왜저(歪底), 심장모양의 심장저, 귀처럼 생긴 이저(耳底)등 여러 표현 방법이 있다.

 

꽃의 구조

꽃은 생식기관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꽃이 달려있는 기간이 매우 짧아 꽃을 보고 나무를 식별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식물의 종의 구분은 항상 꽃의 모양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꽃에 대한 기초지식이 필요하다. 꽃의 구조는 크게 나누어 꽃받침과 꽃잎으로 구성되는 보호기관과 암술과 수술로 구성되는 긴요 기관이 있다. 보호 기관과 긴요 기관이 모두 있는 것을 완전화(完全花)라고 하며 이중에서 어느 부분이 없는 것을 불완전화라고 한다.

긴요기관에서 암술과 수술이 모두 있는 것을 양성화(兩性花), 암술이나 수술 중 어느 하나가 없는 것을 단성화(單性花)라 한다. 또 암꽃과 수꽃이 모두 없는 꽃을 중성화(中性花)라 한다.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 달려 있는 것을 일가화(一家花) 혹은 자웅동주(雌雄同株), 각각 다른 나무에 달려 있는 것을 이가화(二家花) 혹은 자웅이주(雌雄異株)라 한다.

꽃잎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갈래꽃(二瓣花), 서로 붙어 있는 것을 통꽃(合瓣花)이라 한다.

 

꽃차례(花序)

꽃차례는 꽃대에 꽃이 피어서 달리는 모양을 말하며 꽃을 받치고 있는 대를 꽃대(화경, 花梗), 꽃대에서 한 번 더 갈라지는 작은 꽃대를 소화경이라고 한다.

꽃차례의 종류에는 크게 나누어 유한화서와 무한화서가 있다.

 

· 유한화서(有限花序) : 하나의 꽃대에서 꼭대기의 꽃이 먼저 피어 아래쪽으로 피어서 내려가거나 혹은 큰 꽃의 가운데부터 피어서 가장자리 쪽으로 피어 나가는 꽃이다.

· 단정화서(單頂花序) : 목련처럼 꽃자루 끝에 꽃이 1개씩 달리는 꽃차례

· 취산화서(聚散花序) : 꽃대의 끝에 한 송이 꽃이 피고 그 밑의 꽃대 끝에 다시 꽃이 핀다. 계속하여 다시 꽃대가 갈라져 꽃이 연속되는 꽃차례

· 무한화서(無限花序) : 유한화서와 반대로 하나의 꽃대에서 아래쪽의 꽃이 먼저 피어 꼭대기 쪽으로 올라가면서 피거나 혹은 큰 꽃의 가장자리부터 안쪽으로 피어 들어가는 꽃이다.

· 총상화서(總狀花序) : 거의 같은 길이의 소화경이 있는 꽃이 꽃대에 달려 있는 꽃차례

· 원추화서(圓錐花序) : 총상화서가 복합형으로 갈라져서 전체적인 모양이 원뿔모양인 꽃차례

· 미상화서(尾狀花序) : 꽃대가 하늘로 향하지 않고 밑으로 처지는 꽃차례로서 꽃잎이 없고 포()로 쌓인 단성화

· 산방화서(散房花序) : 밑의 소화경일수록 길어져 화서의 끝이 편평하게 된 꽃차례

· 산형화서(傘形花序l) : 꽃대 끝에서 거의 같은 길이의 소화경이 갈라져 바람에 뒤집힌 우산모양의 꽃차례

 

 

열매의 모양

열매는 종자를 포함한 기관을 말하고 자방이 자라서 열매가 된 진과(眞果)와 자방과 꽃받침 혹은 꽃잎이 같이 자라서 형성된 가과(假果)가 있다.

열매는 나자식물과 피자식물에 따라 모양이 다르다.

 

나자식물의 열매

건과(乾果) : 목질로 되거나 수분이 거의 없는 열매

육질과(肉質果) : 열매가 수분이 많은 육질로 구성된 열매

구과(毬果,솔방울) : ()가 비늘 모양으로 여러 겹 포개져서 만들어지는 타원형의 열매

 

피자식물의 열매

각두(殼斗) : 도토리 깍지나 밤송이 같이 총포가 모여서 된 열매의 껍질

시과(翅果) : 열매에 얇은 날개가 달려 있는 것, 단풍나무형과 느릅나무형이 있다.

견과(堅果) : 밤처럼 단단한 목질의 껍질 속에 보통 1개의 큰 종자가 들어 있는 것

협과(莢果) : 콩꼬투리와 같은 열매

삭과(蒴果) : 무궁화처럼 열매가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말라 있고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감과(柑果) : 귤처럼 과육이 여러 개의 방으로 분리되어 있는 열매

핵과(核果) : 버찌처럼 부드러운 육질로 둘러싸인 가운데에 단단한 핵이 보통 1개씩 들어있는 것

이과(梨果) : 사과처럼 단단한 육질이 두껍고 가운데에 많은 종자가 들어 있는 것

상과(桑果) : 오디처럼 작고 부드러운 과일이 모여 있는 형태

 

주요 침엽수 속. 종검색표

 

주목과

 

1. 잎 뒷면에 황녹색의 2줄 기공조선, 종의는 종자의 일부만을 둘러싼다//주목속

1. 잎 뒷면에 흰색의 2줄 기공조선, 종의가 종자를 완전히 둘러싼다//비자나무속

 

소나무과

1. 잎은 나선상으로 돌면서 호생한다//2

2. 가지에 엽침이 발달하고 엽침사이에 홈이 있으며 열매는 아래로 드리워진다//가문비나무속

2. 엽침이 발달하지 않아 매끄럽고 열매는 위로 향한다//젓나무속

1. 잎은 속생, 호생, 총생한다//3

3. 잎은 속생한다//소나무속

3. 잎은 호생 혹은 총생한다//4

4. 상록교목이다//5

5. 잎은 침형이다//개잎갈나무속

5. 잎은 선형이고 잎끝이 갈라진다//솔송나무속

4. 낙엽교목이다//잎갈나무속

소나무속

잣나무류(soft pine)--1개의 다발에 3-5개의 잎이 속생하며 실편은 얇고 가시가 없다.

소나무류(hard pine)--1개의 다발에 2-3개의 잎이 속생하며 실편은 두껍고 가시가 있다.

 

잣나무류

1. 잎은 한 다발에 5개씩 달린다//2

2. 잎은 길이가 길고 종자에 날개가 없다//잣나무

2. 잎은 길이가 길고 부드러우며 종자는 날개가 있다//스트로브잣나무

2. 잎은 길이가 짧다//섬잣나무

1. 잎은 한 다발에 3개씩 달리고 수피가 흰빛이다//백송

 

소나무류

1. 잎은 한 다발에 3개씩이다//2

2. 줄기의 부정아에서 잎이 돋아난다//리기다소나무

2. 줄기에 잎이 돋아나지 않고 잎의 길이가 20cm를 넘는다//대왕송

1. 잎은 한 다발에 2개씩이다//3

3. 잎의 길이가 짧고 솔방울은 단단하여 벌어지지 않는다//방크스소나무

3. 잎의 길이가 길고 솔방울은 벌어진다//4

4. 줄기는 검고 잎이 억세며 겨울눈이 회색이다//곰솔

4. 줄기의 위 부분은 붉고 잎이 억세지 않으며 겨울눈은 적갈색이다//소나무

 

잎갈나무속 : 낙엽침엽수이다.

1. 실편은 25-40개이고 끝이 곧바르다//잎갈나무

1. 실편은 50-60개이고 끝이 뒤로 젖혀진다//일본잎갈나무

 

가문비나무속 : 어린 가지에는 엽침이 발달하고 엽침과 엽침사이에 골이 진다.열매가 아래로 매달린다.

1. 잎의 힁단면은 렌즈형이다//가문비나무

1. 잎의 횡단면은 거의 4각형이다//독일가문비

 

젓나무속 : 어린 가지에 엽침이 발달하지 않아 매끄럽다. 열매가 위로 향한다.

1. 수피가 흑갈색이고 잎의 끝은 뾰족하거나 갈라진다//2

2. 잎의 끝이 뾰족하다//젓나무

2. 잎의 끝이 갈라진다//일본젓나무

1. 수피는 회백색이고 잎은 선형이고 끝이 흔히 갈라진다//3

3. 실편의 포가 곧 바르다//분비나무

3. 실편의 포가 뒤로 젖혀진다//구상나무

 

낙우송과

1. 상록 침엽수이고 잎이 짧고 송곳모양이다//삼나무속

1. 낙엽 침엽수이고 잎은 선형으로서 납작하다//2

2. 잎이 어긋나기 한다//낙우송속

2. 잎이 마주나기 한다//메타세쿼이어속

 

측백나무과

1. 열매는 익으면 벌어지고 목질이며 잎은 대생하고 작은 가지는 편평하다//2

2. 열매의 실편은 기왓장처럼 포개지고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다//측백나무속

2. 열매의 실편은 서로 맞닿기만 하여 포개지지 않으며 열매는 거의 원형이다//편백속

1. 열매는 활엽수의 장과처럼 생기고 벌어지지 않으며 실편은 육질이고 작은 가지는 둥글거나 거의 4각형이다. 잎은 침엽이거나 인엽이다//향나무속

 

편백속

1. 잎은 끝이 둔하고 뒷면의 흰색 기공조선이 Y자 모양이다//편백

1. 잎은 끝이 뾰족하고 뒷면의 흰색 기공조선이 W자 모양이다//화백

 

향나무속

1. 잎은 침엽과 인엽이 같이 달리고 침엽은 길이가 짧으며 거의 송곳모양이다//향나무

1. 잎은 침엽뿐이며 길이가 길고 가지와 거의 직각으로 3개씩 윤생한다//노간주나무

 

주요 활엽수 속. 종검색표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버드나무속, 채양버들속의 340여종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채양버들속은 버드나무속에 합쳐서 2개 속으로 분류한다. 낙엽관목 혹은 교목이며 대부분 호생한다.

 

1. 아린은 5-6개이고 포에 톱니가 있다. 엽병이 대단히 길다//사시나무속

1. 아린은 1개이며 드물게 2개도 있고 포에 톱니가 없다. 엽병이 짧다//버드나무속

 

사시나무속

1. 엽병의 윗부분이 편평하고 잎의 뒷면은 선모가 명확하지 않다//2

2. 잎은 거의 삼각형이다//3

3. 새로 돋아나는 잎은 붉은 빛이 강하고 길이와 폭이 비슷하고 크다//이태리포플러

3. 새로 돋아나는 잎은 그냥 녹색이고 잎이 작다//4

4. 잎의 길이는 폭보다 길고 나무모양은 수관이 벌어진다//미류나무

4. 잎의 길이는 폭보다 짧고 나무모양은 수관이 빗자루 모양이다//양버들

2. 잎은 타원형 혹은 원형이다//사시나무

1. 엽병은 둥글고 잎의 뒷면은 선모가 있어서 하얗다//5

5. 잎의 가장자리에는 큰 결각이 생겨 5각형처럼 생긴 잎이 많고 뒷면에는 흰털이 촘촘히 있다//은백양

5. 잎의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하게 깊은 파상거치가 생기고 뒷면이 희다//현사시나무

5. 잎은 타원형이며 얕은 파상거치가 있고 뒷면은 흰 빛이 돈다//황철나무

 

버드나무속

1. 잎은 타원형이다//2

2. 교목이며 잎은 작고 가장자리에 약한 예거치가 있고 아린은 2개이다//왕버들

2. 지름 10-20cm정도, 잎은 크고 불규칙한 파상거치가 있으며 아린은 1개이고 겨울눈이 붉다//호랑버들

1. 잎은 좁은 피침형이다//3

3. 교목 혹은 관목이며 가지는 밑으로 쳐진다//4

4. 관목이고 잎 뒷면이 희고 냇가에 주로 자란다//갯버들

4. 교목이며 작은 가지가 적자색이면 //수양버들, 황록색이면 //능수버들, 꼬불꼬불하면 용버들이다.

3. 교목이며 가지는 쳐지지 않고 약한 예거치가 있다//버드나무

 

가래나무과

가래나무속, 굴피나무속, 중국굴피나무속의 34종이 있고 기수 우상복엽이며 중생부아가 있다.

 

1 .열매에 날개가 있다//2

2. 열매는 솔방울 같고 위로 향하여 달리며 총엽병에 날개가 없다//굴피나무

2. 열매는 밑으로 쳐지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총엽병에 날개가 있다//중국굴피나무

1. 열매는 날개가 없고 핵과이다//3

3. 소엽의 수가 7개 이상이고 톱니가 있으며 열매는 양끝이 뾰족한 달걀모양이다//가래나무

3. 소엽의 수가 7개 이하이고 톱니가 거의 없으며 열매는 둥글다//호도나무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오리나무속, 서어나무속, 개암나무속, 새우나무속의 5개속 36종이 있다. 잎은 단엽이고 호생하며 탁엽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1. 열매는 탁엽같은 총포로 둘러싸인다//2

2. 열매는 비늘 같은 총포로 싸이고 수상화서에 달리며 아래로 향한다. 잎은 9쌍 이상의 측맥이 있다//3

3. 열매는 길고 총포의 수가 많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서어나무속

3. 열매는 짧고 총포의 수는 8-10개 정도로 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새우나무속

2. 열매는 쪼글쪼글한 탁엽 같은 총포, 혹은 긴 통같은 총포에 싸이며 잎은 5-8쌍의 측맥이 있다//개암나무속

1. 열매는 총포로 싸이지 않는다//4

4. 열매는 솔방울처럼 생겨서 위로 향하고 이듬해까지도 매달려 있다//오리나무속

4. 열매는 긴 원통형이고 상향 혹은 하향한다//자작나무속

 

자작나무속

1. 측맥이 7쌍이상이다//2

2. 수피가 하얗고 피목이 가로로 있다. 미세한 복거치와 측맥이 10-16쌍이면//거제수나무, 불규칙한 톱니와 측맥이 7-11쌍이면//사스래나무

2. 수피는 흑갈색이고 비늘처럼 벗겨진다//3

3. 잎은 크고 어릴 때는 피목이 가로로 생기며 산록에 주로 분포한다//박달나무

3. 잎이 작고 크게 자라지 않으며 주로 높은 산에 분포한다//개박달

1. 측맥이 7쌍이하이다//4

4. 수피가 하얗고 피목이 가로로 있으며 잎은 거의 3각형이다//자작나무

4. 수피는 회흑갈색의 종이를 더덕더덕 붙여 놓은 것 같고 잎은 달걀모양이다//물박달나무

 

오리나무속

1. 잎은 긴 타원형이다//2

2. 측맥이 7-9쌍이다//오리나무

2. 측맥은 12-17쌍이다//사방오리

2. 측맥은 15-27쌍이다//좀사방오리

1. 잎은 거의 둥글다//3

3. 잎은 얕은 심장저이고 수피가 세로로 갈라지며 주로 산의 정상부근에 자란다//물갬나무

3. 잎은 거의 절저이고 수피는 평할하며 주로 계곡부에 자란다//물오리나무

서어나무속

1. 측맥은 15-20쌍이며 과수의 포는 서로 겹쳐져서 긴 통모양이 된다//까치박달

1. 측맥은 7-15쌍이며 과수의 포는 서로 떨어져서 벌어진다//2

2. 수피가 울퉁불퉁하고 잎은 길이가 7-8cm로서 크고 과수의 포는 15개 전후이다. 잎의 끝이 꼬리처럼 길고 잎의 표면에 털이 없으면//서어나무, 잎의 끝이 예두로 되는 경향이 있고 잎의 표면에 털이 있으면 //개서어나무

2. 수피는 평할하고 잎은 크기가 3-4cm정도로 작으며 과수의 포도 4-6개정도이다//소사나무

 

개암나무속

1. 총포는 열매 전체를 둘러싸지 않고 작은 잎모양의 포로 구성된다//개암나무

1. 총포는 열매 전체를 둘러싸고 길이가 길다//2

2. 열매의 모양이 열매의 윗부분이 급히 좁아져서 끝이 갈라져 오므려 들어 있다//참개암나무

2. 열매의 모양이 열매의 윗부분이 급히 좁아지지 않고 끝이 깊게 갈라져 바같 쪽으로 벌어진다//물개암나무

 

참나무과

참나무속, 너도밤나무속, 밤나무속, 잣밤나무속의 수종이 우리나라에 자라며 동아는 복와상이며 단엽이다.

 

1. 수꽃은 두상화서이다//너도밤나무속

1. 수꽃은 꼬리화서에 달린다//2

2. 수꽃은 위로 향한 꼬리화서에 달린다//3

3. 총포에 날카롭고 긴 가시가 있다//밤나무속

3. 총포가 두꺼운 비늘로 되어 있다//잣밤나무속

2. 수꽃은 밑으로 쳐진 꼬리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컵모양의 각두를 형성한다//참나무속, 각두가 인편상이면 참나무아속, 나이테모양이면 가시나무아속

밤나무속 : 잎에 침상거치가 있고 침상거치 부분에는 엽록소가 있다.

1. 잎의 뒷면에 선점이 없고 내피가 잘 벗겨진다//약밤나무

1. 잎의 뒷면에 선점이 있고 내피가 잘 벗겨지지 않는다//밤나무

 

참나무속 : 낙엽성의 참나무아속과 상록성의 가시나무아속으로 세분하기도 한다

참나무아속

1. 잎이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침상거치가 있으며 침상거치 부분에는 엽록소가 없다//2

2. 잎 뒷면이 회백색이고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한다//굴참나무

2. 잎의 뒷면이 연한 녹색이고 수피는 세로로 갈라진다//상수리나무

1. 잎이 타원형이며 크기가 크다//3

3. 잎의 가장자리에 내곡거치가 있다//졸참나무

3. 잎의 자장자리는 파상거치거나 파상거치에 가깝다//4

4. 엽병이 있고 거치는 파상이거나 약간 뾰족하다//갈참나무

4. 엽병이 없고 거치는 큰 파상이며 이저이다//신갈나무

4. 엽병이 없고 거치는 큰 파상이며 잎이 두껍고 뒷면에 갈색 털이 있다. 각두의 총포가 뒤로 젖혀진다//떡갈나무

 

가시나무아속

1.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윗부분에 약간 있다//붉가시나무

1.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2

2. 잎 길이의 1/2이상에만 톱니가 있다//종가시나무

2. 잎의 가장자리 전체에 톱니가 있다//3

3. 톱니가 이빨 모양에 가깝고 잎 뒷면이 희지만 청색에 가깝다//가시나무

3. 톱니가 날카롭고 잎 뒷면은 흰 가루로 덮인 것 같다//참가시나무

 

느릅나무과

의저가 있으며 특히 느릅나무속의 의저가 가장 뚜렷하다.

 

1. 열매에 날개가 있다//2

2. 시과는 둥글고 종자가 가운데 들어 있다//느릅나무속

2. 시과는 둥글고 종자가 한쪽에 치우쳐 있다//시무나무속

1. 열매에 날개가 없다//3

3. 열매에 대가 없다//느티나무속

3. 열매에 대가 있다//4

4. 엽맥은 굽어서 톱니의 끝까지 도달하지 않은다//팽나무속

4. 엽맥은 곧으며 톱니 끝까지 닿는다//푸조나무속

 

느릅나무속 : 현저한 의저가 있다.

1. 잎의 톱니는 단거치이고 잎이 작다//참느릅나무

1. 잎의 톱니는 복거치이다//2

2. 잎의 크기가 작고 긴 타원형이며 앞뒷면 모두 털이 없다//비술나무

2. 잎은 달걀모양이고 뒷면에 털이 있어 거칠다//느릅나무

2. 잎은 끝이 결각이 져 있다//난티나무

 

팽나무속

1. 잎의 끝에 결각이 져 있거나 꼬리처럼 갑자기 길어진다//2

2. 잎의 윗부분에 만 거치가 있고 거치가 크다//산팽나무

2. 잎의 밑 부분까지 거치가 있다//왕팽나무

1. 잎이 타원형이고 예두이다//3

3. 잎의 윗 부분에만 톱니가 있고 측맥은 3-4쌍이며 3출맥처럼 생겼다//팽나무

3. 잎의 아래 부분까지 톱니가 있고 측맥은 3-4쌍이며 3출맥처럼 생겼다//풍게나무

 

뽕나무과

가지를 자르면 유액이 나오고 잎은 가장자리가 갈라지는 잎과 갈라지지 않은 잎이 섞여있다

 

1. 잎에 톱니가 없고 가지에 가시가 있다//구지뽕나무

1. 잎은 3-5개로 크게 갈라지고 열편은 둥글다//무화과속

1. 잎에 톱니가 있고 가지에 가시가 없다//2

2. 겨울눈은 2-3개의 아린으로 싸여 있고 열매는 둥글다//닥나무속

2. 겨울눈은 3-6개의 아린으로 싸여 있고 열매는 길죽하다//뽕나무속

 

뽕나무속

1. 잎의 끝이 꼬리처럼 길며 톱니끝이 뾰죽한 예거치이다//산뽕나무

1. 잎의 끝이 점첨두이고 둔거치인 경우가 많다//뽕나무

 

닥나무속

1. 꽃은 일가화로서 웅화수는 구형이고 잎자루는 길이가 2-3cm정도이며 털이 없다//닥나무

1. 꽃은 이가화로서 웅화수는 원통형이고 잎자루는 길이가 5cm 이상이며 털이 있다//꾸지나무

 

무화과속

1. 잎은 낙엽성이다//2

2. 잎은 3-5개로 갈라지고 거의 원형이다//무화과

2. 잎은 갈라지지 않고 타원형이다//천선과나무

1. 잎은 상록성이다//3

3. 줄기는 곧추서고 잎은 긴타원형이고 두꺼우며 거치가 없다//인도고무나무

3. 목본덩굴이며 잎은 긴 달걀모양이고 잎이 작고 윤기가 있다//모람

목련과

1. 잎은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며 절두이고 열매는 시과이다//튤립나무속

1. 잎은 전연이며 열매는 골돌이다//목련속

 

목련속

1. 잎은 상록성이다//태산목

1. 잎은 낙엽성이다//2

2. 꽃이 잎보다 먼저 핀다//3

3. 꽃이 흰 빛이다//목련

3. 꽃이 짙은 보라 빛이다//자목련

2. 잎이 먼저 피고 꽃이 나중에 핀다//4

4. 꽃이 밑으로 향하고 잎이 두꺼우며 윤기가 있다. 주로 숲속에 자생한다//함박꽃나무

4. 꽃이 위로 향하고 잎이 매우 크고 얇다. 일본에서 수입하여 주로 정원수로 심는다.//일본목련

 

오미자나무과

1. 낙엽덩굴이며 꽃이 수상화서로 핀다//오미자나무속

1. 상록덩굴이며 꽃이 두상화서로 핀다//남오미자속

 

녹나무과

열대 및 아열대에 주로 분포하며 대분분 상록수이다. 나무의 줄기, 가지, 잎 등 의 각 부분에는 유세포(油細胞)라는 방향성과 내부후성을 가진 세포가 있고 잎은 호생하는 단엽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이 보통이다.

 

1. 잎이 낙엽성이다//생강나무속

1. 잎이 상록성이다//2

2. 꽃이 양성화이다//3

3. 잎은 3출맥의 경향이 강하고 측맥의 수가 4-5쌍정도이다//녹나무속

3. 잎은 우상맥이고 측맥은 7-8쌍이다//후박나무속

2. 꽃이 단성화이다//4

4. 잎은 3출맥의 경향이 강하고 잎 뒷면이 흰 빛이 돈다//참식나무속

4. 잎은 타원형으로서 매우 두껍고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갈색 털이 밀생한다//까마귀쪽나무속

 

녹나무속

1. 잎은 뒷면 맥액에 오목한 선()이 있다//녹나무

1. 잎의 뒷면 맥액에 선이 없다//생달나무

 

후박나무속

1. 잎은 달걀꼴이며 끝이 갑자기 돌출하여 볼록하게 된다//후박나무

1. 잎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점점 좁아져 뾰족하다//센달나무

 

생강나무속

1. 잎은 대개 갈라지고 열매는 흑색으로 익는다//생강나무

1. 잎은 갈라지지 않고 타원형 혹은 긴 타원형이다//2

2. 잎은 도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열매는 붉게 익는다//비목나무

2. 잎은 두껍고 타원형이며 열매는 검게 익는다//감태나무(백동백)

 

참식나무속

1. 어린잎은 밑으로 쳐지고 황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차츰 없어진다. 꽃은 황색으로 가을에 피고 열매는 붉게 익는다//참식나무

1. 잎은 표면에 윤기가 있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꽃은 붉은 색이고 봄에 피며 열매는 흑색으로 익는다//흰새덕이

 

으름덩굴과

1. 낙엽덩굴이며 꽃받침 잎이 3개이다//으름덩굴속

1. 상록덩굴이며 꽃받침잎이 6개이다//멀꿀속

 

매자나무과

1. 가지에 가시가 있고 잎은 단엽이다//매자나무속

1. 가지에 가시가 없고 잎은 복엽이다//남천속

 

매자나무속

1. 잎은 도피침형이며 톱니가 없고 길이 2-3cm로서 가시는 단순하다//당매자나무

1. 잎은 도난형이고 톱니는 침상거치이나 고르지 않고 길이 4-5cm정도이다. 가지는 붉은 색이고 암갈색이며 가시는 1개씩 달린다//매자나무

1. 잎은 타원형이고 톱니가 촘촘한 침상거치이며 가지는 회색으로서 가시는 3개씩 갈라진다//매발톱나무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 덩굴식물

1. 잎은 대생하고 5-7개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달걀모양의 첨두이다//으아리

1. 잎은 3출엽이나 드물게 23출엽이고 여러 개의 결각상 톱니가 있다//사위질빵

1. 잎은 우상복엽이며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되고 2-3개의 결각상 톱니가 있다//할미밀망

 

버즘나무과

1. 잎의 중앙열편은 길이가 나비보다 길고 열매는 3개 또는 그 이상 달린다//버즘나무

1. 잎의 중앙열편은 길이가 나비보다 짧고 열매는 보통 1개씩 달린다//양버즘나무

 

범의귀과

1. 잎은 대생하고 열매는 삭과이다//2

2. 꽃은 암술과 수술이 모두 없는 중성화이다//수국속

2. 꽃은 암술이나 수술 중 어느 하나가 있는 단성화이다//3

3. 꽃잎은 5개이고 잎은 우상맥이며 가장자리에 세거치가 있다//말발도리

3. 꽃잎은 4개이고 잎은 3-5출맥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 거치가 있다//고광나무

1. 잎은 호생하고 열매는 장과이다//까마귀밥나무속

 

수국속

1. 꽃은 전부 무성화이다//수국

1. 꽃은 주위의 것만 무성화이다//산수국

 

장미과

세계적으로는 4아과 1153,200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조팝나무아과, 앵두나무아과, 장미아과, 배나무아과의 4아과에 35207종이 있으며 이는 전체 목본 1300여종의 약 16%에 해당한다. 탁엽이 있고 꽃잎이 대부분 5개이며 꽃받침통있고 배유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사과, 배 등의 과일나무와 장미, 조팝나무등 대부분의 꽃나무가 장미과이다.

 

사과나무속

1. 잎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예거치가 있으며 갈라지지 않는다//야광나무

1. 잎은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예거치가 있고 흔히 3-5개로 갈라진다//아그배나무

 

배나무속

1. 잎의 톱니가 거의 침상거치이고 열매는 양끝이 들어가지 않는다//산돌배나무

1. 잎의 톱니가 거의 침상거치이고 열매는 양끝이 오목하게 들어간다//돌배나무

 

마가목속

1. 잎은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9-15//마가목

1. 잎은 타원형의 단엽이다//팥배나무

딸기속

1. 줄기는 거의 곧추서고 잎은 단엽이며 3-5개로 갈라진다//산딸기

1. 줄기는 거의 곧추서거나 덩굴성이고 복엽이다//2

2. 잎은 3출엽이고 정엽은 윗부분이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줄기에 가시 촘촘히 난다//곰딸기

2. 잎은 3출엽이고 소엽은 약간 깊게 파진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표면에는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흰빛 밀모가 있고 줄기에는 가시가 띄엄띄엄 있다//멍석딸기

2. 잎은 복예거치이고 우상복엽이다//3

3. 줄기가 거의 직립하며 줄기에는 흰 가루를 발라 놓은 것 같다//복분자딸기

3. 줄기는 덩굴성이며 줄기는 적갈색이거나 녹갈색이다//줄딸기

 

마가목속

1. 잎은 우상복엽으로 소엽은 913개이고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이중톱니 또는 홑톱니가 있다//마가목

1. 잎은 단엽으로 타원형이고 측맥이 뚜렷하며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이중톱니가 있다//팥배나무

 

벚나무속

살구.복사.자도류

1. 잎에 불규칙한 복거치가 있고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한다//개살구나무

1. 잎은 단거치이다.//2

2. 잎은 타원형이다//3

3. 잎은 급한 점첨두, 예저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자주색 열매가 달린다//자도나무

3. 잎의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잎은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 맥액에 갈색모가 있다//매실나무

3. 잎의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단거치가 있고 잎이 나올 때는 흔히 잎자루가 붉다//살구나무

2. 잎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다//복사나무

 

귀룽.개벚지류

1. 화서 밑에 잎이 달리고 잎 뒷면에 선점이 없으며 총상화서이다. 가지를 꺽으면 고약한 냄새가 난다//귀룽나무

1. 화서 밑에 잎이 없고 잎 뒷면에 선점이 밀생하며 총상화서이다//개벚지나무

 

벚나무류

1. 꽃이 잎보다 먼저 피며 암술대와 자방에 털이 있다//왕벚나무

1. 꽃과 잎이 거의 동시에 피며 암술대와 자방에 털이 없다//산벚나무

 

콩과

세계적으로는 55013,000여종이 있는 큰 과이다. 우리나라에는 1642종이 자라고 있는데 교목으로 자라는 수종은 자귀나무속, 주엽나무속, 다릅나무속, 회화나무속, 아까시나무속이다. 뿌리혹 박태리아를 가지고 있어서 척박지에서도 잘 자라며 열매는 모두 콩 꼬투리 모양의 협과가 특징이다.

 

1. 우상복엽이며 항상 가시가 있거나 가끔 가시가 생긴다//2

2. 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파상거치가 있다. 가끔 가시가 줄기에 발달한다//주엽나무

2.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이고 가끔 요두이고 전연이다. 항상 가시를 가지고 있다//아까시나무

1. 우상복엽이며 가시가 없다//3

3. 어린가지는 녹색이며 소엽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차츰 뾰족해 진다//회화나무

3. 어린가지는 갈색이며 소엽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갑자기 짧게 뾰족해 진다//다릅나무

3. 소엽의 크기가 매우 작고 2회 우상복엽이다//자귀나무

 

싸리속 : 3출엽

1. 잎은 끝이 뾰족하고 밑은 원저이다//조록싸리

1. 잎은 둔두이다//싸리

1. 잎은 가끔 요두이다//참싸리

 

운향과

상산을 제외하면 모두 복엽이다.

1. 우상복엽이고 낙엽활엽수이다//2

2. 잎은 호생 혹은 대생하고 소엽이 작다//산초나무속

2. 잎은 대생하고 소엽이 크다//3

3.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하고 내피가 황색이며 겨울눈은 엽병으로 싸여있다//황벽나무속

3. 수피는 매끄럽고 내피는 황색이 아니며 겨울눈은 엽병과 떨어져 있다//쉬나무속

1. 3출엽이고 낙엽활엽수이다//탱자나무속

1. 단신복엽이며 상록활엽수이다//귤속

 

산초나무속

1. 가시가 호생하며 소엽은 끝이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잔거치가 있다. 잎이나 열매의 향기가 약하다//산초나무

1. 가시가 대생하며 소엽은 끝이 둥그스름하고 가장자리에 파상거치가 있다. 잎이나 열매의 향기가 강하다//초피나무

 

귤속 : 단신복엽

1. 가지에 가시가 있고 열매는 신맛이다//유자나무

1. 가지에 가시가 없고 열매는 단맛이다//

 

소태나무과

1. 열매는 핵과이며 소엽은 7-15개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소태나무속

1. 열매는 시과이며 소엽은 13-25개이고 가장자리에는 3-4개의 큰 톱니와 선점인 사마귀가 있다//가죽나무속

 

멀구슬나무과

1. 1회 우상복엽이고 꽃은 백색이며 열매는 삭과이다//참죽나무속

1. 2회 우상복엽이고 꽃은 청색이며 열매는 핵과이다//멀구슬나무속

 

대극과

1. 잎이 매우 크고 장상맥으로 보인다//2

2. 잎의 밑은 원저이며 3개 정도로 얕게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예덕나무속

2. 심장형이며 점첨두로서 처음에는 양면에 맥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유동속

1. 잎이 작고 우상맥이다//3

3. 줄기는 잔줄이 세로로 나 있으며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장타원형으로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잎자루가 짧다//광대싸리속

3.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측맥 끝에 선점이 있다. 잎자루는 2cm이상으로 긴 편이다//사람주나무속

 

옻나무과

옻나무속 : 복엽

1. 총엽병에 날개가 있고 소엽의 가장자리 전체에 톱니가 있다//붉나무

1. 총엽병에 날개가 없으며 소엽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2-3개의 톱니가 있다//2

2. 소엽은 9-13개 이다//옻나무

2. 소엽은 13-17개 이다//개옻나무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1. 낙엽활엽수이고 단지가 발달한다//대팻집나무

1. 상록활엽수이고 단지가 발달하지 않는다//2

2. 잎이 작고 두꺼우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꽝꽝나무

2. 잎은 약간 긴 타원형이며 혁질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2-3개의 톱니가 있다//감탕나무

2. 바늘 같은 가시가 있다//호랑가시나무

 

노박덩굴과

사철나무속

1. 상록활엽수이다//사철나무

1. 낙엽활엽수이다//2

2. 가지에 날개 또는 줄이 있다//화살나무

2. 가지에 날개가 없고 열매는 주홍색에서 붉은색으로 익는다//3

3. 열매는 둥글고 5개의 능선으로 갈라진다//참회나무

3. 열매는 5개의 짧은 날개가 있다//회나무

3. 열매는 4개의 날개가 있고 날개의 길이가 길며 약간 휜다//나래회나무

3. 열매는 날개가 없으며 4개의 능선이 있으나 거의 벌어지지 않는다//참빗살나무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 시과, 대생, 장상엽

1. 잎은 단엽이다//2

2. 잎은 3개로 갈라진다//3

3. 가운데 열편이 가장 길며 복예거치가 있다//신나무

3. 가운데 열편이 특별히 길지 않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중국단풍나무

3. 잎은 주로 3개로 갈라지고 드물게 5개로도 갈라지나 아래쪽 두 개의 갈라짐은 얕다. 가장자리에는 치아상 거치가 있다//시닥나무

2. 잎은 5개 이상으로 갈라진다//4

4. 잎은 5-7개로 얕게 갈라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고로쇠나무

4. 잎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다시 3개로 얕게 갈라지며 뒷면이 은빛이다//은단풍

4. 잎은 7-9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는 복거치가 있다//단풍나무

4. 잎은 9-11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는 복거치가 있다//당단풍

1. 잎은 복엽이다//5

5. 잎은 3출엽이다//6

6. 소엽에는 아랫부분에 2-3개의 큰 톱니가 있다//복자기

6. 소엽은 전체에 걸쳐 잔톱니가 있다//복장나무

5. 잎은 3-5개의 우상복엽이고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네군도단풍

 

무환자나무과

1. 소엽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열매는 핵과이다//무환자나무속

1. 소엽은 가장자리에 결각과 톱니가 있고 열매는 삭과이다//모감주나무속

 

나도밤나무과

나도밤나무속

1. 단엽이다. 잎은 긴타원형이고 길이 15-20cm, 나비 5-6cm정도로 측맥수가 많으며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나도밤나무

1. 복엽이다. 소엽은 11-13개이며 소엽병이 거의 없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합다리나무

 

피나무과

피나무속 : 프로펠라 모양의 큰 포, 심장형잎

1. 열매는 둥글고 능선이 없다//피나무

1. 열매는 둥글고 기부에 희미한 줄이 있다//찰피나무

1. 열매는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5개의 능선이 밑에서 끝까지 있다//염주나무

1. 열매는 둥글고 밑부분에 5개의 능선이 있다//보리자나무

 

다래나무과

다래나무속 : 잎에 침상거치

1. 잎은 녹색이고 열매는 거의 원형이다//다래

1. 잎은 잎몸 전체 혹은 잎몸의 1/2정도가 백색으로 되고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개다래

 

동백나무과

노각나무를 제외하면 모두 상록활엽수

1. 낙엽활엽수이고 수피는 사슴뿔처럼 매끄럽다//노각나무

1. 상록활엽수이다//2

2. 잎은 긴 타원형 혹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전연이다//3

3.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총생하고 혁질이다. 피침형이고 전연이며 잎자루는 붉으며 둔두이다//후피향나무

3. 잎은 모두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전연이고 잎끝은 점첨두이다//비쭈기나무

2. 잎은 타원형 혹은 긴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4

4. 잎은 긴 타원형이고 약한 내곡거치를 가지며 꽃은 흰색이다//차나무

4. 잎은 타원형이며 파상톱니가 있고 꽃은 붉은 색이다//동백나무

4. 잎은 긴타원형이며 둔한 톱니가 있고 꽃은 연한 황녹색이다//사스레피나무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 : 잎 뒷면에 명확한 은백색 인모

1. 낙엽활엽관목이며 긴 타원형이고 전연이다//보리수나무

1. 상록활엽수 덩굴이며 잎은 타원형이고 전연이다//보리밥나무

 

두릅나무과

1. 잎은 단엽이다//2

2. 상록활엽수이다//3

3. 상록덩굴로서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3-5개로 얕게 갈라진다//송악

3. 상록관목이고 잎은 7-9개로 갈라지며 각 열편은 피침형이고 거치가 있다//팔손이

3. 상록교목으로서 잎은 타원형이고 톱니가 없으나 어릴 때 3-5개로 깊게 갈라진다//황칠나무

2. 낙엽활엽수이다//4

4. 낙엽교목이고 줄기에는 큰 가시가 있으나 잎자루나 잎에는 가시가 없다//음나무

4. 낙엽관목이고 줄기, 엽병, 잎의 주맥에 가늘고 긴 가시가 밀생한다//땃두릅나무

1. 잎은 복엽이다//5

5. 잎은 3-5개로 갈라지는 장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다//오갈피나무

5. 잎은 2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두릅나무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 잎맥이 거의 평행맥에 가까워 측맥의 끝이 잎 끝에 모이는 경향이 있음

1. 잎은 호생하고 가지는 윤생하여 층층을 이룬다//층층나무

1. 잎은 대생하며 가지는 층층을 이루지 않는다//2

2. 잎은 전연이거나 파상거치가 약간 있으며 4개의 큰 꽃잎을 가진 흰 꽃이다. 열매는 취과로서 익으면 붉고 딸기모양이다//산딸나무

2. 잎은 전연이며 산방화서 모양(취산화서)이고 수피는 검고 그물처럼 갈라진다//말채나무

2. 잎은 전연이며 산형화서에 붉은 열매가 달리며 수피는 비늘처럼 벗겨진다//산수유

 

진달래과

진달래속

1. 상록관목이다//2

2. 잎은 긴 타원형이고 크며 윤기가 있고 꽃은 크며 깔때기 모양의 화관을 가진다//만병초

2. 잎은 타원형이고 작으며 전연이고 총상화서에 흰 꽃이 핀다//꼬리진달래(참꽃나무겨우살이)

1. 낙엽관목이다//3

3. 붉은색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잎은 긴 타원형이며 잎 뒷면에는 털이 있다//진달래

3. 붉은색 꽃잎에 반점이 있으며 잎과 꽃이 거의 같이 피며 잎은 달걀모양이다//철쭉

 

자금우과

자금우속 : 상록 소관목, 붉은 장과

1. 줄기가 곧추 자라고 잎에 파상거치가 있으며 꽃은 원대 끝에 달린다//백량금

1. 지하경이 뻗으면서 줄기가 나오고 잎에 세거치가 있으며 꽃은 잎겨드랑이에 달린다//자금우

 

감나무과

감나무속 : 단엽, 큰 잎, 전연

1. 어린 가지에 회색털이 있고 꽃은 꽃자루가 있으며 꽃이 연속으로 달린다. 열매는 지름 2cm 정도로 작다//고욤나무

1. 어린 가지에 갈색털이 있고 꽃은 꽃자루가 없으며 꽃은 거의 한 개 씩 달린다. 열매는 3-4cm이상이다//감나무

 

때죽나무과

때죽나무속 : 수피가 매끄럽다

1. 잎은 거의 원형에 가깝고 뒷면에 털이 밀생하며 꽃은 총상화서에 달린다//쪽동백나무

1. 잎은 타원형이고 뒷면의 주맥에만 털이 밀생하며 꽃은 2-5개씩 달린다//때죽나무

 

물푸레나무과

1. 열매는 시과이다//2

2. 잎은 단엽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미선나무속

2. 잎은 복엽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물푸레나무속

1. 열매는 시과가 아니다//3

3. 열매는 삭과이다//4

4. 잎은 작고 거치가 있으며 꽃은 노란색이다//개나리속

4. 잎은 크고 거치가 없으며 꽃은 흰색 혹은 자주색이다//수수꽃다리속

3. 열매는 핵과 또는 장과이다//5

5. 잎은 거의 감나무 잎처럼 생겼고 총상화서에 흰 꽃이 핀다//이팝나무속

5. 잎은 작고 가지 끝에 원추화서나 총상화서로 흰 꽃이 달린다//쥐똥나무속

5. 잎은 두껍고 윤기가 있으며 꽃은 잎의 겨드랑이에 달린다//목서속

쥐똥나무속 : 전연, 열매는 장과 같은 핵과이며 1-4개의 종자가 들어있음

1. 낙엽활엽수 관목이고 잎은 긴 타원원형이다//쥐똥나무

1. 상록활엽 소교목이고 잎은 넓은 타원형 점첨두이다//광나무

 

물푸레나무속 : 대생, 복엽, 시과

1. 복엽의 꼭대기 잎이 가장 크며 1년 가지에서 화서가 나오고 맥액에 털이 있다//물푸레나무

1. 복엽의 모든 잎의 크기가 같으며 2년 가지의 끝에서 화서가 나오고 주맥 기부에 갈색털이 있다//들메나무

1. 소엽의 크기가 작다//쇠물푸레나무

 

마편초과

관목이고 대생한다.

1. 잎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으며 잎의 겨드랑이의 취산화서에 자주색 열매가 달린다//작살나무속

1. 잎은 넓은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가장자리는 전연이거나 큰 톱니가 몇 개 있고 누린내가 난다//누리장나무속

1. 상록관목이며 잎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밀생하고 잎은 두껍고 난형이다//순비기나무속

 

작살나무속 : 자주색 열매

1. 잎의 가장자리에는 1/2이상에만 톱니가가 있고 열매는 지름이 2-3mm정도이다//좀작살나무

1. 잎의 가장자리에는 잎 밑 부분 까지 톱니가 있으며 열매는 지름이 4-5mm정도이다//2

2. 잎의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는 선점이 있다. 전국 어디에서나 자란다//작살나무

2. 잎의 표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없다. 주로 남해안의 섬지방에 자란다//새비나무

 

오동나무과

오동나무속 : 잎은 대생, 넓은 달걀모양이고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잎의 크기가 20-30cm에 이른다

1. 잎 뒷면에 연한 갈색 털이 있고 화관에 자주빛 선점이 없다. 좀처럼 보기 어렵다//오동나무

1. 잎의 양면 모두에 연한 갈색털이 밀생하며 화관에 자주빛 선점이 있다. 흔히 심겨져 있다//참오동나무

 

능소화과

1. 잎은 기수우상복엽이고 대생하며 소엽에는 톱니가 있다. 가지에는 빨판을 가지고 있어 벽에 잘 달라 붙는다//능소화

1. 잎은 단엽이고 오동나무 잎과 비슷하며 대생 또는 3윤생한다. 삭과가 달리며 길이가 20-30cm에 달한다//개오동

 

인동과

1. 잎은 복엽이며 열매는 장과이다//딱총나무속

1. 잎은 단엽이며 열매는 핵과, 삭과 혹은 장과이다//2

2. 열매는 핵과 혹은 삭과이다//3

3. 열매는 핵과이고 꽃은 주로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린다//가막살나무속

3. 열매는 삭과이고 가지 끝 혹은 잎겨드랑이에 작은 산방화서로 달린다//댕강나무속

3. 열매는 삭과이고 화관이 길어 병 모양이다//병꽃나무속

3. 열매는 핵과이고 꽃은 주로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린다//가막살나무속

3. 열매는 삭과이고 가지 끝 혹은 잎겨드랑이에 작은 산방화서로 달린다//댕강나무속

3. 열매는 삭과이고 화관이 길어 병 모양이다//병꽃나무속

2. 열매는 장과이다//인동속

 

딱총나무속 : 수가 굵고 잎은 대생, 우상복엽

1. 잎은 2-3쌍의 우상복엽으로 구성되고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예거치이다//딱총나무

1. 잎은 2-3쌍의 우상복엽으로 구성되고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내곡거치이다//말오줌때

 

가막살나무속 : 대생

1. 상록활엽수이고 잎은 전연이며 두껍고 윤기가 있다//아왜나무

1. 낙엽활엽수이다//2

2. 탁엽이 있고 잎은 타원형 혹은 긴 타원형이다//덜꿩나무

2. 탁엽이 없으며 잎은 넓은 달걀모양이다//가막살나무

2. 탁엽이 없으며 잎은 끝이 3개로 얕게 갈라지고 꽃은 가장자리가 무성화이다//백당나무

 

인동속

1. 덩굴성이며 반상록이고 열매는 흑색으로 익는다//인동

1. 줄기는 곧추서고 열매는 맑은 적색으로 익는다//괴불나무

 

벼과

왕대속

1. 죽간의 고리가 2개이나 윗부분의 고리가 희미하여 1개처럼 보인다//죽순대(맹종죽)

1. 죽간의 고리가 명확한 2개로 보인다//2

2. 원대에서 갈라지는 가지의 밑 부분이 거의 원형이며 잎은 2-3개이고 피침형이다//솜대, 줄기가 검다//오죽(烏竹)

2. 잎은 5-6개씩 달리며 엽초에 반점이 있다//왕대

 

조릿대속 : 높이 1-2m, 직경4-5mm정도 자라며 숲속의 나무아래에 자란다

 

백합과

청가시덩굴속

1. 잎은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가장자리에 파상거치가 있고 열매는 검게 익는다//청가시덩굴

1. 잎은 거의 원형이고 윤기가 있으며 잎 끝은 갑자기 뾰족해지고 열매는 붉게 익는다//청미래덩굴

'야생화, 나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 이야기  (0) 2016.12.28
야생화  (0) 2016.12.28
주요 수종 종, 속 검색표  (0) 2016.12.28